CS/Cloud Computing
[Cloud Computing] 3. GCP Linux VM instance 생성
코코맹
2024. 7. 17. 15:17
데이터 센터: 컴퓨터 집적 시설
클라우드는 데이터센터의 가상화된 데이터 센터
- 분산시스템 ex) 아마존 소프트웨어를 돌아가게끔 클라우드에 설치 > 안정적인 수입
가용영역 (Availability Zone): 실제 데이터센터를 3~5개를 입대해서 하나의 가상 데이터 센터로 만드는것
- ex) US-East1-a
Region : 가용영역을 3~5개 모아서 하나의 리전으로 만듦
- 독자적으로 클라우드 서비스를 안전하게 제공할 수 있는 단위
- 서울리전, 동부리전, 서부리전… US-East1
http (TCP80) : 암호화 안됨 > 정보성 게시불 ( 기사, 불특정 다수에게 공개 가능)
https (TCP443) : 암호화 됨 > 로그인, 고객정보
SSH : Secure shell : 리눅스 명령어를 암호화해서 전달하는 프로토콜
※ 리눅스 VM 인스턴스 생성
GCP를 이용하여 실습을 진행 할 예정이다.
해당 인스턴스들의 조건에 맞추어서 설정하면 된다.
※ 웹서버 만들기
sudo apt update
sudo apt install vim # vim자동 설치
sudo apt install apache2 -y
cd /var/wwww/html # 웹서버 루트 디렉토리
ls # 파일목록 확인
sudo vi index.html # vi명령을 사용했기 때문에 index.html파일생성후편집
i # insert 모드
this is jian
ESC # 편집모드종료 insert사라짐
:wq # write quit 저장하고 종료
※ 웹서버에 이미지 연결
스토리지 버킷에 먼저 이미지를 업로드 한다.
sudo vi index.html
<img src="이미지 주소"> # 이미지 주소는 스토리지 버킷에 올린 이미지의 주소를 첨부
ESC
:wq